"나이가 많아서 못 하는 게 아니라 용기가 없어서 못 하는 것이다."
"몸에 좋은 음식, 지속적인 운동 등 건강 생활 습관을 지켜서 건강한 몸으로 죽을 때까지 하고 싶은 일을 하며 살자." 나의 생활 신조다.
미켈란젤로가 시스티나 성당의 천장에 벽화 <천지창조>를 그릴 당시 나이는 90세였다. 베르디가 오페라 <오셀로>를 작곡했을 때는 80세였으며, 괴테가 대작<파우스트>을 완성한 것은 82세였다.
지금 당신은 몇 살인가?
'미국의 샤갈', 해리 리버맨은 퇴직 후 시니어 클럽에서 체스를 두거나, 잡담을 하며 지냈다. 77세가 된 그는 젊은 직원의 권유로 그림을 그리게 되었다. 그리고 성공해서 101세에 22번째 전시전을 열었으며, 많은 미술 애호가들이 그의 그림을 사랑했다.
어느 날 시니어 클럽에서 일이었다. 체스 파트너가 나오지 않아 무료하게 앉아있던 그에게 한 젊은 직원이 그림을 그리라 권유했다. 그는 껄껄 웃으며 말했다. "여태까지 그림 붓 한 번 잡아보지 않은 나더러 그림을 그리라고!" 그러자 젊은 직원은 대답했다.
"걱정하실 필요 없어요. 그냥 재미로 한 번 해보는 거예요. 재미있을지도 모르잖아요?"
해리가 77세에 이렇게 시작한 그림 그리기는 그에게 부와 명성을 안겨 주었다. 그가 그림을 그리기 시작하자, 천부적인 그의 재능이 드러났던 것이다. 지도 선생님에게 그림 지도를 요청한 적도 있는데, '지도가 필요 없는 화가'라는 말을 들었다고 한다. 103세에 세상을 떠난 그 노화가는 이렇게 말한 적이 있다. "나는 내가 백한 살이라고 말하지 않겠습니다. 다만 백일년의 삶을 산만큼 성숙해졌다고 할 수 있겠죠.“
예순, 일흔, 여든, 혹은 아흔 살 먹은 사람들에게 “나는 아직도 말년이 아니다”는 얘기를 해 주고 싶다. ”몇 년이나 더 살 수 있을까 생각하지 말라. 내가 어떤 일을 더 할 수 있을까만을 생각해 보라. 무언가 할 일이 있다는 것, 그게 바로 삶이다!"
100세 노병이었던 영국의 톰 무어경은 코로나 진료를 위해 2020년 4월부터 3개월여만에 우리 돈으로 500억을 모금한 바 있다. 이에 감동한 94세의 영국 여왕은 그에게 기사 작위를 수여했다.
존 로우는 79세에 발레를 시작, 90세에 무대에 선 발레리노이다. 호서대 설립자 강석규 총장은 95세에 어학공부를 시작했다. 그의 나이 65세때 그는 남은 삶을 생의 끝자락 즉, ‘여생‘이라 생각했었다. 그런데 그후 30년을 더 살고보니, 1/3을 허송세월 했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이를 후회하며 그는 이렇게 말했다. "퇴직했었던 당시 내가 30년이나 더 살게 될 것을 알았었다면, 난 정말이지 그렇게 살지는 않았을 것입니다. 그 때는 내 스스로가 늙었다며 뭔가를 시작하기엔 늦었다고 생각했던 것이 큰 잘못이었어요. "
나이가 많다는 것은 세상 경험을 충분히 했다는 말과 같다. 글을 써도, 강연을 해도, 풍부한 연륜이 뒷받침 되어 그 내용이 풍성할 수밖에 없다. 따라서 "나이 때문에 못할 일은 없다. 죽을 때까지 내가 세상에 존재하므로 조금이라도 더 좋은 세상이 될 수 있도록 하자."
사족을 단다면, "하루를 살아도 재미있게!" 내가 강조하고 싶은 말이다.
<필자 : 수필가, 시니어타임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