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9월 1일부터 미국 전역에서 흑인 여성 소비자들이 주도하는 새로운 보이콧 운동이 시작되었다. 이번 운동은 한 달 동안 흑인이 소유하지 않은 모든 뷰티 브랜드 제품을 구매하지 않고, 흑인 소유 브랜드만을 지지하겠다는 강한 선언이다. 단순한 불매운동이 아니라, 오랜 경제적 차별과 최근 대기업들의 다양성 축소 정책에 대한 반발이 결합된 사회적 움직임이라 할 수 있다.
흑인 여성들은 미국 뷰티 시장에서 가장 강력한 소비 집단 중 하나로, 매년 수십억 달러 규모의 지출을 차지한다. 그러나 이 막대한 시장에서 실제 흑인이 소유한 브랜드는 매우 제한적이다. 이번 보이콧은 이러한 불균형을 바로잡기 위한 소비자들의 집단 행동이다. 소비자들은 이제 단순히 좋은 제품을 찾는 것이 아니라, 브랜드가 누구의 소유인지, 어떤 가치를 지향하는지를 함께 고려하기 시작했다.
보이콧의 방식은 명확하다. 타겟(Target), 월마트(Walmart), 아마존(Amazon) 같은 대형 리테일러와 아시아계 운영 뷰티서플라이 매장은 배제되고, 오직 흑인 소유 브랜드의 제품만 직접 구매된다. 소비자들은 브랜드 공식 웹사이트나 흑인 소유 매장에서 물건을 구입하고 있으며, SNS에서는 검증된 브랜드 리스트와 DIY 레시피, 자연 헤어스타일 정보가 활발하게 공유되고 있다.
이미 시장 충격은 눈에 띄게 드러나고 있다. 타겟은 매출 감소와 흑인 소비자 신뢰 상실로 인해 CEO가 사임하는 사태를 맞았다. 그러나 동시에 타겟에 입점해 있던 SLAYYY Hair, The Lip Bar, TGIN 같은 흑인 소유 브랜드들도 보이콧의 여파로 피해를 입었다. 이로 인해 많은 브랜드들이 대형 유통망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고, 독립 뷰티서플라이 매장과 자사몰 중심으로 전략을 전환하고 있다.
뷰티서플라이 업계에 이번 사태는 단순한 사회 이슈가 아니라 직접적인 경영 변수로 다가온다. 흑인 여성 소비자들은 매장의 핵심 고객층이며, 이들의 움직임은 곧바로 매출 변화로 이어진다. 따라서 흑인 소유 브랜드의 입점 확대, 커뮤니티와의 긴밀한 소통, 소비자 신뢰 확보가 앞으로의 경쟁력을 좌우할 것이다.
이번 보이콧은 시장이 변화하고 있음을 알리는 신호탄이다. 업계는 이를 위기이자 기회로 받아들여야 한다. 변화하는 소비자의 요구를 민감하게 읽고 적극적으로 대응한다면, 오히려 새로운 성장의 가능성을 열 수 있을 것이다.
Black Beauty Boycott: Why the September 1 ‘Black-Owned Only’ Movement Matters
On September 1, 2025, a nationwide boycott led by Black women consumers began across the United States. For one month, participants pledged to stop purchasing beauty products from non–Black-owned brands and to support only those owned by Black entrepreneurs. This movement is more than a temporary consumer strike—it is a cultural and economic declaration born from decades of frustration and the recent rollback of diversity and inclusion initiatives at major corporations.
Black women represent one of the most powerful consumer groups in the U.S. beauty market, spending billions of dollars annually. Yet, only a small fraction of brands serving this market are actually Black-owned. The boycott aims to confront this imbalance by using collective purchasing power to demand change. Consumers are no longer focused solely on product quality; they now want to know who owns the brand and what values it represents.
The boycott’s rules are clear: avoid large retailers such as Target, Walmart, and Amazon, as well as non–Black-owned beauty supply stores, and purchase only from Black-owned brands. The exception is direct support—buying through official brand websites or Black-owned stores. On social media, lists of verified Black-owned brands are circulating widely, along with DIY beauty recipes and natural hair styling guides that encourage alternative practices.
The impact on the market has already become visible. Target, which scaled back its diversity and equity programs earlier this year, has faced declining sales and the resignation of its CEO under pressure from consumer backlash. At the same time, Black-owned brands that had just entered Target, such as SLAYYY Hair, The Lip Bar, and TGIN, also suffered unintended consequences. Many of these companies are now shifting their strategies toward independent beauty supply stores, direct-to-consumer channels, and their own websites.
For beauty supply store owners, this boycott is more than just a headline. It is a business reality. Black women make up the core customer base in many communities, and their choices directly affect sales. The presence of Black-owned brands on store shelves, authentic engagement with the community, and building consumer trust will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factors for success.
The September boycott signals a structural shift in the beauty market. What some see as a crisis may also be an opportunity. Those who understand and adapt to these new consumer priorities will not only survive but may also find new avenues for growth in a changing marketpla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