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신사법 본회의 통과!!
‘사단법인 크리에이티브국제미협’, ‘K뷰티를사랑하는사람들’ 등 관련
미용단체들의 끊임없는 노력의 결과!!
지난 25일, 국회에서 문신사법 본회의 통과로 ‘K-타투’ 33년 만에 세계로 진출한다. 이번에 본회의 통과된‘문신사법’은 1992년 대법원 판결 이후 33년 동안‘불법 의료행위’라는 굴레에 갇혀 음지에서 활동해 온 문신 시술이 마침내 합법적인 전문 영역으로 인정받은 것이다. 이번 문신사법 통과는 미용 시장의 안전과 발전을 위해 끈질기게 노력해 온 사단법인 크리에이티브국제미협(이사장 박미정) 및’ K뷰티를 사랑하는 사람들(대표 김남렬)’이 끊임없이“K뷰티가위험하다” 캠패인을 함께 벌여온 결과이기도 하다. 이같은 헌신적인 활동의 결실로, K-타투의 세계적 위상에 걸맞은 제도적 기반이 마련되어 앞으로의전망이 기대가 된다.
불안했던 반영구미용 종사자들에게 기쁜 긍정적 변화의 서막
문신사법 시행은 그동안 법적 불안정성으로 인해 부당한 피해를 감수해야 했던 종사자들의 환경을 근본적으로 개선할 것으로 기대된다. 과거에는 불법 시술을 빌미로 금품을 요구하는 공갈 협박을 당해도 법의 보호를 받기 어려웠다. 하지만 이제는 문신 종사자들이 합법적 영업자 지위를 획득하여, 부당한 협박에 대해 법의 보호를 받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단속을 피해 간판 없이 숨어 영업해야 했던‘음지 영업’의 불안정성도 해소될 전망이다. 국가 면허를 취득하고 업소 등록을 하면 떳떳하게 활동하며 창작에 전념할 수 있는 안정적인 직업 환경이 조성되기 때문이다. 소비자 위생 안전 역시 크게 개선될 것이다. 개인의 양심에만 의존하던 위생 관리는 법적 기준이 의무화되고 정부 및 지자체의 관리·감독이 시작되면서 감염 및 부작용 위험이 대폭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미용 단체 및 뷰티 산업계 열렬한 환영
문신사법 통과에는 문신 시술이 의료 행위가 아닌 전문 미용 영역임을 주장하며 법적 투쟁을 이어온 미용 단체들의 역할이 컸다. 문신 관련 직능 단체들은 직업의 자유를 찾기 위한 오랜 염원이 이루어졌다고 밝혔다. 특히, 그동안 ‘K뷰티는 위험하다‘는 캠페인을 벌이며 안전한 미용 시장 조성을 요구해 온‘사단법인 크리에이티브국제미협’ 및 ‘K뷰티를 사랑하는 사람들’ 단체들도 이번 합법화에 대해“어려웠던 미용 시장에서 상당히 고무적인일”이라며 기대감을 표했다. 이들 단체는 앞으로 자율적인 윤리 규제와 교육을 강화해 산업의 질적 발전을 주도할 계획이다.
K-타투 산업계 역시 시술의 신뢰도가 높아져 국내외 시장이 확대될 것으로 기대하며 고무된 분위기다.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한국 문신 아티스트들이 이제 국내에서도 당당하게활동할 수 있게 되었다. 반면, 대한의사협회 등 의료계는 여전히 피부 침습 행위의 감염 위험을 지적하며 신중한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향후 법 시행을 위한 하위 법령 마련 과정에서 문신사의 시술 범위 등을 두고 의료계와의 추가적인 논의와 조율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문신사법은 공포 후 유예기간을 거쳐 시행될 예정이다. 이 기간 동안 정부와 관련 단체들은 안전한 시술 환경을 정착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는 데 총력을 기울일 계획이다.
사단법인 크리에이티브 국제미협 김윤수 부회장은‘문신사법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지만, 아직 남은 후속 절차가 많아 해결해야 할 숙제들을 하나씩 풀어나가야 한다‘며 반영구 시장의 성장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김남렬 / 뷰티타임즈 서울 지국장
getzbeauty1@gmail.com
Written By Getz Kim / Seoul Bureau Chief at Beauty Times
K-Tattoo Steps Onto the Global Stage After 33 Years: Tattooist Act Passed in the National Assembly
“A milestone achieved thanks to the relentless efforts of beauty
associations such as the Creative International Beauty
Association and “People Who Love K-Beauty.”
On September 25, the Korean National Assembly passed the long-awaited Tattooist Act, paving the way for “K-Tattoo” to enter the global stage after 33 years. Since a 1992 Supreme Court ruling, tattooing had been restricted under the stigma of “illegal medical practice.” Now, with this new law, tattooing is officially recognized as a legitimate professional field.
This breakthrough is the result of years of advocacy led by the Creative International Beauty Association (Chairperson Mi-Jeong Park) and People Who Love K-Beauty (Representative Nam-Ryul Kim), who have tirelessly promoted their “K-Beauty Is in Danger” campaign. Their efforts have finally created a legal and institutional foundation worthy of K-Tattoo’s rising global reputation.
A New Dawn for Semi-Permanent Beauty Practitioners
For thousands working in the semi-permanent and tattoo beauty field, this law signals the beginning of long-awaited positive change. In the past, practitioners operated in constant fear—vulnerable to extortion, harassment, and raids—without legal protection. Many were forced to work “underground,” hiding their shops and signs to avoid crackdowns.
With the new Act, tattooists will be able to obtain national licenses and register their businesses, finally securing stable professional status. This will not only allow artists to focus on their creative work but also vastly improve consumer safety. Hygiene standards—once left to individual conscience—will now be governed by legal requirements, overseen by national and local authorities. The risk of infection and side effects is expected to decrease significantly.
Warm Welcome from Beauty Associations and the Industry
Beauty associations played a crucial role in the Act’s passage, fighting to redefine tattooing as a specialized beauty practice rather than a medical act. For these organizations, the legalization marks the fulfillment of a decades-long dream: the restoration of freedom in their profession. Groups such as the Creative International Beauty Association and
People Who Love K-Beauty hailed the legislation as a “remarkably encouraging development” for an industry that has long faced obstacles. They plan to strengthen ethical standards and education programs to ensure qualitative growth in the sector. The K-Tattoo industry is equally energized. With improved credibility, both domestic and global markets are expected to expand. World-renowned Korean tattoo artists can now practice openly in their own country as well as abroad.
However, opposition remains from parts of the medical community, including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which continues to highlight the risks of infection from skin-invasive procedures. Further negotiations are expected during the drafting of enforcement ordinances, particularly regarding the scope of tattooists’ practice. The Act will take effect after a grace period, giving the government and industry stakeholders time to establish detailed systems for safe operations.
Looking Ahead
Kim,Yoon Su, Vice President of the Creative International Beauty Association and CEO of Remake Art, emphasized that although the Tattooist Act has passed, much work remains in follow-up procedures. He pledged continued efforts to foster the semi-permanent beauty market and ensure the safe, sustainable growth of the industry